돌출된 잎이 세 개인,
토끼 귀라 불리는 필로덴드론을
연속해서 소개해 드리고 있습니다.
소개할 삼엽 필로덴드론이 아직 많아요
빨리 시작해 보겠습니다.
Philodendron tripartitum
이름 그대로
Tri- (Three) 세 개의 partition 분할,
그리고 중성 명사 'um'을 사용한 이름으로
잎이 세 갈래로 나누어져 붙은 이름 같습니다.
1829년에 학계에 기술된 트리파티텀은
또 다른 이름, 펜즐리(fezilii)로도 알려져 있지만
정확하게는 트리파티텀(tripartitum)이 맞습니다.
두 이름 모두 구글링을 하면 쉽게 찾아낼 수 있지만
식물학자들은 최초 등록 명칭으로 부른다고 합니다.
[트리파티텀 = 펜즐리]
트리파티텀의 고향
멕시코에서 주로 발견된다고 하는데
중앙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서식합니다.
(죄송합니다.)
베라크루즈 주와 타바스코 주
코스타리카, 파나마, 자메이카 그리고
남쪽으로는 콜롬비아, 에콰도르, 볼리비아
및 브라질 일부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중앙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해발 1.3km까지 분포합니다.
어디서 많이 보던 잎인데?
필로덴드론 캄포스포토아넘과 유사합니다.
이전에 소개했던 69686과 같이
경계가 확실한 세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필로덴드론 캄포스포토아넘의 모습 ※
↓ ↓ ↓ ↓ ↓
2023.07.15 - [가드닝] - EP. 07 필로덴드론 캄포스포토아넘
EP. 07 필로덴드론 캄포스포토아넘
귀여운 빵떡잎, 벨벳 같은 감촉과 토끼 귀를 갖고 있는 캄포스포토아넘 오늘의 포스팅 주제입니다! 대표 토끼귀 필로덴드론(Philodendron Camposportoanum) 여름을 맞아 시원시원하게 성체 잎을 내어주
supremeplums-plantsdiary.tistory.com
트리파피텀은 매우 빨리 자라나며
(기본적인 환경이 갖춰졌을 때)
근방에 있는 나무와 식물을 덮을 정도라고 합니다.
무시무시한 한국의 환삼덩굴과 같나 봅니다..
(a.k.a Korean Vine)
도심에 풀숲이 있다면 십중팔구 환삼덩굴입니다.
반 착생식물?
자연에서 트리파티텀의 번식 방법은
여느 필로덴드론과 같이 열매를 맺고
조류가 그 열매를 먹은 뒤 다른 나뭇가지에
배설물을 뿌리면 그 씨앗으로 발아하여
토양으로 뿌리를 내리는 방식으로
수명주기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다른 필로덴드론들도 그럴 수 있겠죠..?)
이는 반착생식물(hemiepiphyte)의
번식 특성이기도 합니다.
착생식물은 어떨까?
착생식물(epiphyte)은 땅과 접촉하지 않고도
숙주에서 수명주기를 다 하거나
반대로 지상에서 생장을 하다가
나무에 착생을 하면 지상과의 연결을 끊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실새삼이 있습니다.
기생식물로 알려져 있기도 하죠
실처럼 생긴 식물입니다.
영상은 실새삼의 생존 방법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DrS83J_ycM
잎의 모양
어린잎(Child)은 큰 특성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청소년기 잎(Juvinile)의 모습은
캄포스포토아넘과 유사하고
위의 토끼 귀 필로덴드론들과 같이
잎은 세 갈래 모양이며
녹색에서 짙은 녹색까지
가끔은 거의 회녹색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성체 잎(Mature)의 모습은
69686과 더 닮아 있습니다.
유사한 두 식물과의 확실한 차이점은
커질수록 잎맥의 주름이
확연히 드러난다는 점입니다.
트리파티텀 꽃
다른 필로덴드론과 같은 모양의 꽃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종마다 Spathe(포엽)와 Spadix(다육질)의
색깔은 여러 가지 발색을 내어줍니다.
준비한 트리파티텀의 소개는 여기까지입니다.
다음번 포스팅도 또 다른
토끼 귀 필로덴드론 소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진출처 : Etsy.com, Pinterest)
'가드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처럼 생긴 마로니에 열매 구분법 먹으면 안되는 이유와 독성 (0) | 2025.02.15 |
---|---|
벚꽃나무 개화 벚나무 빗자루병 blossom flower 차이 (0) | 2025.02.15 |
필로덴드론 69686 이름이 숫자인 이유와 성장과정 꽃 (0) | 2025.02.15 |
알로카시아 쿠프레아 레드시크릿 키우기 바리에가타 (0) | 2024.09.26 |
핑크 베고니아 줄라우보찌 키우기 번식방법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