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드닝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주 목련 백목련 차이 꽃말과 종류 색깔 별 의미 봄이 오면 가장 먼저 모습을 드러내는 목련! 차가운 겨울을 지나 따스한 햇살을 받고꽃을 피운 목련은 봄을 상징합니다. 목련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목련'이라 부르는꽃나무는 사실 중국 원산지의 '백목련'입니다. '나무의 핀 연꽃'이라는 뜻의 목련은6장의 꽃잎과 3장의 꽃받침을 가지며,꽃잎이 단단해 전체적인 모양이또렷하게 잘 잡혀 있습니다. 꽃은 잎이 나기전 4월에 피고열매는 9~10월에 열립니다. 목련 꽃말백목련의 꽃말은 '이루지 못한 사랑'입니다.토종 목련의 꽃말은 '고귀함', 자목련의 꽃말은 '자연에 대한 사랑'이 있으며'존경, 숭고한 사랑'을 의미합니다. 목련과 백목련 차이 토종 목련과 백목련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첫 번째, 꽃받침목련은 꽃받침이 있지만 백목련은 없습니다.두 번째, 개화시기목련.. 더보기 봄꽃 흰 민들레 꽃말 홀씨 번식 방법 뿌리와 잎의 효능 길을 걷다 작은 민들레 한 송이를 보게 됐습니다.바람에 흔들려도 꺾이지 않는 민들레.흔하지만 그만큼 잘 몰랐던 민들레에 대하여꽃말부터 생물학적 비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민들레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로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보이는 흔한 들꽃입니다.우리가 접하는 민들레는 사실 '서양민들레'로20세기 초 우리나라에 토착화한 외래종입니다. 잎의 모양이 사자의 이빨과 닮아 있는데요사자 이빨을 의미하는 불어(dent de lion)에서유래하여 영어 이름은(dandelion)입니다.(민들레의 한자이름은 : 포공영[浦公英]) 민들레의 꽃말 민들레의 대표적인 꽃말은 희망, 행복한 마음그리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입니다. 바람에 흩어지는 민들레 씨앗이 이루기 힘든소망과 인연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더보기 여러 종류의 이끼와 역할 번식 테라리움으로 실내에서 키우는 방법 이끼는 습한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이지만,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끼에 대해 잘 모르고,때로는 곰팡이나 해로운 식물로 오해하기도 하죠 오늘은 이끼의 생물학적 특징부터키우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끼(Moss) 이끼는 가장 오래된 육상 식물 중 하나입니다.약 4억 7천만 년 전부터 존재해왔으며,초기 육상 식물의 조상으로도 여겨집니다. 이끼가 생겨나는 이유높은 습도 → 비나 이슬로 촉촉한 환경 형성 약한 햇빛, 그늘 → 직사광선이 아닌 곳에서 성장산성 토양 → pH가 낮은 환경에서 잘 자람 거친 표면 → 바위, 나무껍질 등에 쉽게 정착 공기 중에 떠다니는 포자나 이끼의 일부가습기, 그늘, 온도 등의 환경을 갖추면 생겨납니다.이끼의 생물학적 분류이끼는 선태식물.. 더보기 박쥐란 종류 알시콘 베이치 목부작 키우는 방법 물주기 식물로 실내의 분위기를 바꾸고 싶다면추천하고 싶은 식물 중 하나인 박쥐란오늘 소개해 볼 식물입니다. 국내에서는 박쥐 날개를 닮은 잎모양으로 인해박쥐란으로 알려져 있지만,해외에서는 사슴뿔을 닮았다고 해서사슴뿔고사리(staghorn fern)로도 불립니다. 플라티케리움(Platycerium) 박쥐란은 착생 양치식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꽃도 씨앗도 만들지 않고 포자로 번식하며자연에서 주로 나무에 붙어 자라고세계적으로 약 18종이 분포한다고 합니다. 이는 원종의 수이며 꾸준한 원예 품종의 개발로수백 종의 품종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착생식물인 박쥐란은 착생 대상에 해를 끼치지않고 빗물과 대기 중의 수분으로 물을 공급받고동물의 배설물이나 분해된 낙엽의 유기물로부터양분을 얻어 살아갑니다. 자생지· 아프리카· 동.. 더보기 히메 몬스테라 라피도포라 찢잎 만들기 햇빛 물주기 흔히 히메 몬스테라라고 하지만몬스테라 속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라피도포라 테트라스퍼마Raphidophora tetrasperma히메 몬스테라의 정확한 이름입니다. 몬스테라와 닮아 미니 몬스테라로도 불립니다.바로 이전 포스팅했던 식물인 아미드리움과도잎의 모양이 닮아 있습니다. 자생지 멕시코가 자생지인 몬스테라와는 다르게라피도포라 테트라스퍼마의 자생지는태국 남부와 말레이시아입니다. 이름의 유래 먼저 'Rhaphidophora'그리스어로 '바늘'을 의미하는 'Rhaphis'와'운반자'를 의미하는 'Phoreus'에서 파생되었는데라피도포라는 옥살산 칼슘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요로계 결석을 일으키는 원인인 옥살산 칼슘을현미경으로 관찰해 보면 바늘과 같이 날카로운결정들로 이루어져 이런 이름을 갖게 된 듯합니다... 더보기 아미드리움 미디움 실버 잎 모양 변이 러너 강렬한 잎맥을 가진 아미드리움 미디움Amydrium medium 언뜻 보기엔 몬스테라와 많이 닮아 있습니다.자세히 보면 잎맥이 군데군데 갈라져 있고조금 더 윤택한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생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몬스테라와는 다르게아미드리움 미디움은 아시아에서 발견됩니다. 태국의 남서부, 말레이시아 반도, 싱가포르,수마트라, 보르네오, 필리핀에서 자생합니다. 특징 아미드리움 미디움은 덩굴 식물으로 올라갈 곳을찾지 못하면 러너(runner)라는 수평 가지를 내어올라갈 수 있는 곳을 찾을 때까지 잎을 내지 않고수평으로 길어집니다. 잎이 커질수록 구멍이 하나 둘 늘어납니다. 잎맥도 더 도드라지는 것이 확인됩니다.이러한 잎맥의 생김새 때문에'스파이더맨 몬스테라'라고도 불립니다. 덩굴을 탈 수 있게 감아주.. 더보기 필로덴드론 밥씨 성장과정 바리에가타 하이브리드 톱니바퀴처럼 생긴 잎이 마치회사에서 일하는 저와 닮아 있습니다. 오늘의 식물 필로덴드론 밥씨. Philodendron Bobcee 밥씨라는 이름은 미국의 육종가의 이름을 따서명명되었다고 합니다. 밥씨는 하이브리드 종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모종의 식물로 지목된 식물은헤데라세움(미칸)과 스퀘미페럼으로 단순히 두 식물의 잎 모양 조합만으로는나올 수 없는 형태의 잎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하니 참 신기할 따름이네요 두 식물의 잎 모양 각 식물의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참고! ↓ ↓ ↓ ↓ ↓ 2024.01.16 - [가드닝] - EP. 18 필로덴드론 헤데라세움 (옥시카르디움) EP. 18 필로덴드론 헤데라세움 (옥.. 더보기 필로덴드론 마요이 키우기 셀렘과 차이점 성장과정 오늘 소개할 식물은 필로덴드론 마요이입니다. 필로덴드론 셀렘, 정확하게는타우마토필럼 비핀나티피덤과 모양이 유사하여자주 혼동되기도 합니다. Philodendron Mayoi 식물학자 Eduardo G. Gonçalves 박사에 의해2000년 식물에 관한 국제 저널에 출판되었고 (Royal Botanic Gardens Kew Bulletin) 왕립 식물원에서 브라질 필로덴드론을 연구하는식물학자 Simon Mayo 박사의 이름을 따서마요이(Mayoi)로 명명되었습니다. 잎사귀 윗면은 녹색을 띠며 양쪽에 갈라진 잎은성체가 될수록 많아지며 잎 수는 4~7개또는 그 이상의 경계진 잎을 가집니다. 자생지 브라질 열대우림에서 자생하며 땅에서 자라 다른 나무에 착생하는 전형적인 필로덴드론의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 더보기 이전 1 2 3 4 ··· 7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