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 기념으로 관엽이 아닌 나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봄이 찾아와 주변에 만개한 벚꽃이 많아
오늘은 벚나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벚나무 🌸
현재 가로수로 식재되어 있는 벚나무의 정확한
종명은(Prunus serrulata)입니다.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약 20m까지 자라고
빠르게는 3월 말부터 꽃을 피워
4월 초중순에서 5월까지 벚꽃을 피웁니다.
벚꽃의 꽃말은 아름다운 정신(영혼),
정신적 사랑, 삶의 아름다움입니다.
6월 초여름, 늦게는 7월까지 벚나무 열매인
버찌가 열립니다.
Cherry blossom?
벚나무인데 왜 영어 이름은
Cherry blossom 일까요?
먼저 벚나무 속은 Prunus 속으로
벚나무의 한자이름은 櫻樹, 櫻木입니다.
사용된 한자는(櫻 : 앵두나무 앵)으로
앵두나무와 벚나무가 같은 것은 아니지만
생물학적으로 둘 다 벚나무 속에 속합니다.
이외에도 살구나무, 자두나무가
Prunus 속에 속합니다.
벚나무도 버찌라는 열매를 만들어내고
버찌가 Cherry의 순우리말입니다.
그럼 Blossom은?
사전적인 의미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두 단어의 뜻은 모두 꽃을 뜻하지만
한 가지 큰 차이 점이 있습니다.
flower는 단순히 식물의 생식기관의 집합,
blossom은 유실수와 관목의 꽃을 칭하는
단어로 조금 더 세분화된 명칭입니다.
버찌(Cherry)가 달리는 꽃(blossom)
그리하여 Cherry blossom이 되겠습니다.
(벚꽃 = 버찌꽃)
벚꽃의 구조
연분홍색을 아주 조금 띤 흰색 꽃잎이
방사형으로 5장이 납니다.
수술은 여러 개로 꽃마다 개수가 다르고
중앙에 암술과 암술대가 위치합니다.
벚꽃에는 향기가 거의 나지 않아
코에 아주 가까이 대고 향을 맡아야
겨우 향이 느껴집니다.
꽃의 종류
꽃잎이 서로 떨어져 있는 갈래꽃이고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이 모두 있는
갖춘꽃으로 분류됩니다.
벚나무의 특징
자생력이 뛰어난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도심 속 자동차 매연 등 공해가 심한 지역에서도
가로수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해인사의 팔만대장경 경판에 쓰인 나무 2/3이
벚나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재질이 균일하고 너무 무르거나 단단하지 않아
글자를 새기기 알맞아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또 목재의 향이 좋아 바비큐 훈연 목재로도
최상급 목재에 속하는데 아주 고급스럽고
우아한 향이 난다고 합니다.
여러모로 쓰임새가 많은 나무입니다.
벚나무 잎
꽃이 지면 잎이 나기 시작합니다.
신엽은 적갈색에서 점점 녹색으로 변해가며
깻잎 순과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작은 잎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톱니를
잎 둘레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여름이 돼서 잎이 커지고 가을이 될 때쯤
봄을 알려주던 벚꽃 대신 단풍을 보여줍니다.
벚나무 수피에는 가로줄이 있습니다.
갈라진 수피 사이에는 피목이 있고,
이 부분에서 새 가지가 나오기도 합니다.
가지가 듬성듬성 많이 나와 수형 정리가
필요할 땐 최소한의 가지만 쳐야 합니다.
벚나무는 튼튼하지만 상처가 날 경우
드러난 단면부터 쉽게 썩어 들어가
속이 빈 벚나무가 될 수도 있습니다.
병충해
벚나무는 빗자루 병이라는 병충해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이 병에 걸리게 되면 대표적으로 '엽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개화철에 꽃이 피지 않고
작은 잎이 무성하게 나고 가지가 시듭니다.
포자로 번져나가는 이 병은 전염성이 강해
빨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 도포)
제주벚나무
올벚나무와 산벚나무의 교배종으로 제주도가
원산지인 한국 토종 벚나무입니다.
일본의 소메이요시노 벚나무와 동종으로
혼동되었는데 DNA 염기 서열 분석 등
연구에 의해 다른 종임을 밝혀냈습니다.
벚나무는 자가불화합성 특성을 갖고 있어서
다른 벚나무와 쉽게 교잡이 되어 일본과
한국의 토종 벚나무 계통을 밝히는 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자가수정하지 않고 교잡으로만 번식
벚꽃아 떨어지지마
벚꽃이 만개하고 있습니다.
곧 여름이 올 텐데 예쁜 벚꽃을 오래 보고 싶어서
냉동실에 4송이를 얼려놨습니다.
4계절 동안 벚꽃을 볼 수 있는 저만의 방법!
남은 봄도 마저 잘 즐기시길 바랍니다.
'가드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로덴드론 마요이 키우기 셀렘과 차이점 성장과정 (0) | 2025.02.15 |
---|---|
밤처럼 생긴 마로니에 열매 구분법 먹으면 안되는 이유와 독성 (0) | 2025.02.15 |
필로덴드론 트리파티텀 펜즐리 성장과정 꽃 (2) | 2025.02.15 |
필로덴드론 69686 이름이 숫자인 이유와 성장과정 꽃 (0) | 2025.02.15 |
알로카시아 쿠프레아 레드시크릿 키우기 바리에가타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