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드닝

핑크 베고니아 줄라우보찌 키우기 번식방법

반응형

보석이 박혀 있는 것 같은 잎과

반짝거림이 특징인 식물입니다.

EP.35

 

Begonia julau bocchi

 

핑크색, 카키색, 가끔은 녹색을 띠며

뾰족한 타원형 잎을 갖고 있습니다.

자라면서 핑크색 반점은 흰색으로 변합니다.

 

베고니아 속(Genus) 어원

베고니아 속명의 어원은 프랑스의 속령인

아이티의 전 주지사이자 식물학 후원자인

미첼 베곤(Michel Begon)의 이름을 따서

찰스 플루미어(Charles Plumier)가 그를

기리기 위해 지은 이름입니다.

 

 

 

Julau? (bocchi)

 

말레이시아 Sarawak 주의 Julau라는

곳에서 채집이 되어 명명된 이름 같습니다.

bocchi라는 단어의 유래는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조사해도 나오지 않네요. 

 

Etsy.com @botanic.az

 

(Sarawak에서 채집된 Begonia sarawak)

 

베고니아 종류

유통되는 종 기준, 필로덴드론이 약 200종

몬스테라가 50종, 안스리움이 600종인데

베고니아는 2000종이라고 합니다.

 

이는 국내 유통 기준이고 전세계로 따지면

종류는 훨씬 많겠죠?

제가 보여드릴 몇몇 다른 베고니아들은

빙산의 일각 중에서도 0.1각입니다..

 

잎의 형태, 색상과 질감까지 일률적이지 않고

저마다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줄라우보찌 입양

 

베고니아들은 배수가 좋고 온도가 높으며

습한 기후에서 잘 자랍니다.

 

밀폐를 시켜서 키워도 잘 자라는 특징 때문에

테라리움, 비바리움에 자주 쓰이는 식물입니다.

 

베고니아의 주된 번식 방법은 잎꽂이로

잎을 떼서 수태에 넣어주면 번식이 됩니다.

 

 

5개월 방치

 

작은 플라스틱 컵에서 유리 수조로 옮긴 뒤

잎 세 장 중 두 잎을 떼어 수태에 올려두고

5개월 동안 방치를 해보았습니다.

 

복사가 되었습니다.

 

(잘) 팔린다면 부자가 될 수 있겠어요.

 

 

삐죽 나온 것은 아마 공중 뿌리로 보이는데요

생장점, 기근이 있어야 번식하는 필로덴드론,

몬스테라와 달리 베고니아는 잘라진 부분에

물이 닿으면 뿌리가 발생합니다.

 

 

7개월 째 

 

정말 물도 안 주고 시비도 안 해줬습니다.

수조에 수태와 물을 넣고 랩을 씌운 뒤 7개월이

지났는데 잘만 자라줍니다.. 빛만 있으면 살아요;

제일 위의 잎은 핑크색보단 흰색을 띠는 게

어느 정도 성장 한 거 같습니다. 

 

 

그새 번식이 돼서 지인분께 선물도 드렸습니다.

 

 

닮은 꼴

happyforest.store

 

Begonia negrosensis

 

점박이의 패턴만 조금 다르고 색의 조합과

잎의 형태가 많이 닮아 있습니다.

 

 

happyforest.store

 

Begonia amidalae

 

줄라우보찌보단 오히려 바로 위 식물인

네그로센시스와 더 비슷한 패턴을 가졌는데요

이 식물 역시 색상과 잎의 형태가 비슷하고

무엇보다 자랄수록 반점의 색깔이 흰색으로

바뀐다는 점이 가장 닮아있습니다.

 

+번외

2024.02.26 - [가드닝] - EP. 32 파리지옥(Venus fly trap)

 

EP. 32 파리지옥(Venus fly trap)

속눈썹 연장 시술을 받은 포충엽으로 유명하고 식충식물 중에서도 유일하게 능동적으로 벌레를 잡는 식물 파리지옥, 오늘 알아볼 식물입니다. Dionaea muscipula 위의 이름은 학명으로, 라틴어로는 '

supremeplums-plantsdiary.tistory.com

파리지옥 포스팅에서 품종 명이

김정은이라는 파리지옥이 있었습니다.

 

 

 

오늘 소개 드린 다른 베고니아 품종의 꽃입니다.

 

바로 김정은의 아버지 김정일의 이름을 딴

'Kimjongilia(김정일리아)'인데요

 

생긴 건 장미처럼 생겼지만 개량된 베고니아로

김정일의 46회 생일인 1988년 2월에 소개됐고

일본인 가모 모토데루가 20년의 품종개량 끝에

김정일에게 선물했다고 합니다. (굳이?)

 

부자가 쌍으로 식물 이름에 명명된 첫 케이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정식 학명은 : Begonia x tuberhybrid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