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봤을 땐 “이게 집에서도 자라나?” 싶었습니다.
야자수처럼 길게 뻗은 잎은 휴양지를 떠올리게 합니다.
NASA 선정 공기정화 식물 타이틀까지 있는
오늘의 주인공은 아레카야자,
흔히들 말하는 ‘이레카야자’입니다.
아레카야자(이레카야자)
집 안을 ‘휴양지 느낌’으로 바꿔주는 식물입니다.
잎이 가늘고 부드럽게 늘어지며, 여러 개의 줄기가
군생 형태로 자라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풍성합니다.
‘이레카야자’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한 분들이 많지만,
정확한 표기는 ‘아레카야자’입니다.
자생지
아레카야자는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입니다.
비가 자주 오고 습한 열대기후가 특징인데요
그래서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하지만
일반적인 실내에서도 잘 적응합니다.
그 유명한 바오밥나무도 마다가스카르 출신입니다.[마다가스카르 바오밥나무의 비밀]
마다가스카르 바오밥(바오바브)나무의 비밀
바오밥나무는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자생하는독특한 나무로, 특이한 생김새와 아주 긴 수명나무에 얽힌 이야기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Baobab 사진과 같이 나무줄기가 굵고 매끈하며가지가 길
supremeplums-plantsdiary.tistory.com
아레카야자 특징
줄기에서 여러 갈래로 나뉘는 잎은 깃털처럼 퍼지며,
공간에 풍성한 인상을 더해줍니다.
대기 중의 독성 물질을 정화하는 능력도 뛰어나
실내 공기 개선에도 도움이 되며,
반려동물에게 독성이 없는 무독성 식물이라
안전하게 함께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실내에서 관리해주는 것이 좋고
겉흙이 충분히 마른 뒤 물을 줘야 합니다.
꽃과 꽃말
원산지에서는 줄기 사이로 노란빛 꽃이 피어나며,
‘부활’과 ‘승리’이라는 꽃말을 지닌 아레카야자는
꾸준히 자라나는 생명력 속에 힘을 품고 있습니다.
부드럽게 흐드러지는 잎사귀는 화려하진 않지만
차분한 안정감을 전해주는 식물입니다.
같은 속 다른 종
아레카 야자의 학명은 Dypsis lutescens,
영어로는 Areca palm입니다.
아레카야자는 Dypsis 속에 속하며,
비슷한 모습의 식물로는 아래 종이 있습니다.
금호야자 (Dypsis decaryi)
겐차야자 (Howea forsteriana)
피닉스야자 (Phoenix roebelenii)
이들은 모두 ‘야자류’로 묶이며,
실내 식재용으로는 겐차 야자가 주로 사용됩니다.
여담
‘아레카야자’를 검색하면 ‘이레카야자’가 먼저 뜹니다.
그만큼 잘못된 이름이 대중화되었다는 뜻이죠.
정확히는 ‘아레카야자’가 맞지만,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는지 이름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아레카'야자로 불러주세요!
'유레카도 아닙니다.'
다른 글
에피프레넘 아우레움 샹그릴라 키우기 스킨답서스와 차이
샹그릴라를 닮은 촛불 모양의 말린 잎으로특이한 생김새를 가진 식물입니다.EP.31Epipremnum aureum Shangri-la 잎자루와 잎의 모양이 정말 특이한데요모양과 비슷한 이름인 샹그릴라(Shangri-la)와몬스트
supremeplums-plantsdiary.tistory.com
레몬 씨앗 발아부터 키우기까지 1년간 성장과정
집에서는 해볼 수 있는 취미가 마땅히 없어식물을 키워보기로 했어요~~첫 번째로 키워 볼 식물은 레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과일 중 하나인 레몬.정말 너무 셔서 사진만 봐도 침이 고입니
supremeplums-plantsdiary.tistory.com
죽어가는 무늬 싱고니움 대품으로 키우기
화려함으로 눈길을 사로잡고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어 무늬종 단골 입문 식물인 무늬 싱고니움 포스팅해보겠습니다!무늬 싱고니움(Syngonium variegata) 이 식물도 무늬 종이니 Variegata라는
supremeplums-plantsdiary.tistory.com
'가드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 이팝나무 철길 조팝나무 차이 명소 포토 꽃 꽃말 개화시기 (0) | 2025.05.16 |
---|---|
만천조팝나무 이팝나무 조팝나무 차이 꽃 종류 꽃말 삽목 (1) | 2025.05.15 |
무늬 콩고 필로덴드론 버킨 키우는 법 물주기 흰무니 관리 팁 (1) | 2025.05.13 |
산세베리아 꽃 키우기 물주기 번식 방법 (0) | 2025.05.11 |
실내 음지 반음지 그늘에서 키우기 쉬운 덩쿨 식물 종류 (2)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