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드닝

전주 이팝나무 철길 조팝나무 차이 명소 포토 꽃 꽃말 개화시기

반응형

 

 
 

 
누가 봄 하늘에 쌀밥 던졌나요?
눈처럼, 밥풀처럼 흩날리는 이팝나무 꽃
이름만큼이나 정겨운 이팝나무를 소개합니다.
 

이팝나무

 봄이 되면, 온 나무를 하얗게 덮는 꽃이 있습니다.
멀리서 보면 쌀밥을 수북이 얹어놓은 듯한 모습이죠.
그래서 붙은 이름, 바로 ‘이팝나무’입니다.
 
이팝나무는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

자연 상태에서는 15m 이상 크게 자라며,
봄철이면 쌀알처럼 생긴 순백의 꽃이
나무 전체를 덮듯 피어납니다.
 
한국, 중국, 일본에만 자생하는 희귀 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인공 증식에 성공하여 조경수로
흔히 볼 수 있지만 일본과 중국에서는 여전히
멸종 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꽃이 많이 피면 풍년이,
적게 피면 흉년이 든다는 옛말도 전해집니다.
 
영어로는 Korean(Chinese) fringe tree fruit
학명은 Chionanthus retusus


이름부터 궁금한 나무

 예전에는 이팝나무를 ‘이밥나무’라고 불렀습니다.

여기서 ‘이밥’은 쌀(이) + 밥,
즉 쌀로 지은 흰밥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이씨 성을 가진 왕이 먹는 귀한 밥이라서 이밥이다"
라는 민간 설화도 전해집니다.

비록 공식 어원은 아니지만, 그만큼 쌀밥이 귀하고
특별했던 시절의 정서가 녹아 있는 이야기입니다.

이후 발음 변화로 ‘이팝나무’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이팝나무 꽃

 꽃은 4~5월에 피며, 길고 얇게 갈라진 꽃잎이
나무 전체를 덮을 정도로 풍성하게 피어납니다.
 

 개화 후에는 타원형의 잎이 마주나고, 가을에는
포도처럼 보랏빛이 도는 작은 열매가 열립니다.

꽃말

이팝나무의 꽃말은 ‘영원한 사랑’입니다.
조용히 피는 흰 꽃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자생지와 환경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자생합니다.

양지에서 잘 자라며,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좋아합니다.

공해와 병충해에도 강하고 내한성도 좋아
도심 조경수와 가로수로 적합합니다.
 

이팝나무 물주기와 관리

강건한 나무이며, 토양 건조에도 비교적 잘 견딥니다.

겉흙이 마르면 넉넉히 물을 주고,
어린 묘목일 경우 건조하지 않게 유지합니다.

성장 속도는 느리지만 뿌리가 깊고
안정적으로 자라, 관리가 편한 나무입니다.

이팝나무 번식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양성화 그루) ⓒ국가유산청

 주로 씨앗(종자)으로 번식하지만, 삽목도 가능합니다.
이팝나무는 특이하게도 ‘수꽃 그루’와 ‘양성화 그루’가
따로 존재하는데, 양성화 그루가 꽃도 더 풍성하고
열매도 맺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더 적합합니다.
 
이렇게 '수꽃-양성화 딴그루'는 전체 꽃식물 중
0.05%로 극소수만 존재한다고 합니다.

조팝나무와의 차이

이팝은 키 큰 교목, 조팝은 키 작은 관목입니다.

이팝은 꽃이 나무 전체를 감싸듯 피고,
조팝은 줄기를 따라 작고 둥근 꽃이 줄지어 핍니다.

이팝은 물푸레나무과, 조팝은 장미과로
서로 다른 식물 분류로 구분됩니다.
 
조팝나무에 관한 더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조팝나무 꽃과 꽃말 종류]

만천조팝나무 이팝나무 조팝나무 차이 꽃 종류 꽃말 삽목

봄이면 흰 꽃이 흐드러지게 피는 나무가 있습니다. 튀긴 좁쌀을 붙인 것 같은 작지만 풍성한 꽃으로,정원과 도로를 환하게 밝혀주는 오늘의 식물조팝나무 입니다. 조팝나무조팝나무는 장미과

supremeplums-plantsdiary.tistory.com

 

 

전주 이팝나무 명소

1. 팔복동 이팝나무 철길

 위치: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1가 263-32 일대

옛 철길을 따라 약 630m 구간에 빽빽이
심어진 이팝나무가 순백의 꽃터널을 이룹니다.
 
실제로 화물열차가 지나가는 풍경과 어우러져
영화 같은 장면이 연출됩니다.

2. 팔복예술공장

ⓒpalbokart.kr

 위치: 전주시 덕진구 구렛들1길 46

문화재생을 통해 조성된 복합문화공간으로,
이팝나무 철길 바로 옆에 위치합니다.

철길 산책 후 여유롭게 들르기 좋은 장소로,
실내 전시와 카페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휴식과 문화생활을 함께할 수 있습니다.

3.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ex.co.kr

 위치: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462-45

도심 외곽 대형 수목원으로, 한적하게 산책하며
이팝나무 외에도 여러 봄꽃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곳이 제격입니다. 피크닉 장소로도 좋고,
계절별 정원 테마가 잘 꾸며져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