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끼는 습한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이지만,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끼에 대해 잘 모르고,
때로는 곰팡이나 해로운 식물로 오해하기도 하죠
오늘은 이끼의 생물학적 특징부터
키우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끼(Moss)
이끼는 가장 오래된 육상 식물 중 하나입니다.
약 4억 7천만 년 전부터 존재해왔으며,
초기 육상 식물의 조상으로도 여겨집니다.
이끼가 생겨나는 이유
높은 습도 → 비나 이슬로 촉촉한 환경 형성
약한 햇빛, 그늘 → 직사광선이 아닌 곳에서 성장
산성 토양 → pH가 낮은 환경에서 잘 자람
거친 표면 → 바위, 나무껍질 등에 쉽게 정착
공기 중에 떠다니는 포자나 이끼의 일부가
습기, 그늘, 온도 등의 환경을 갖추면 생겨납니다.
이끼의 생물학적 분류
이끼는 선태식물(Bryophytes)에 속하는
식물군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통상적으로 모두 이끼라고 칭하지만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선류(Liverworts)
우산이끼 (Marchantia polymorpha)
간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이끼로,
우산 모양의 생식 구조를 가집니다.
은행이끼 (Ricciocarpos natans)
수생 이끼로, 물 위에 떠서 생활합니다.
넓은잎양털이끼 (Porella platyphylla)
나무껍질이나 바위 표면에 부착하여 자라며
건조에 강합니다.
2. 태류(Mosses)
생수태 (Sphagnum spp)
습지에서 자라며 보습력이 뛰어나
난초 재배나 멀칭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폴리트리쿰 (Polytrichum)
키가 크고 빽빽하게 자라는 태류 이끼입니다.
브리움이끼 (Bryum)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흔한 태류 이끼입니다.
3. 각태류(Hornworts) 뿔 모양의 이끼
뿔이끼(Anthoceros)
공생하는 시아노박테리아를 통해 질소 고정이
가능하여 토양을 더욱 비옥하게 만들어줍니다.
혹뿔이끼(Phaeoceros laevis)
리소좀* 내에 색소를 포함하고 있어
어두운색을 띨 수 있습니다.
리소좀 : 세포 내 소화 기관 역할을 하는 소기관입니다.
짧은뿔이끼(Notothylas)
다른 뿔이끼들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포자낭도 짧고 둥근 형태입니다.
이끼류의 질소 이용 방식 정리
선류, 태류 → 질소고정 불가능
토양 속 암모늄(NH₄⁺)이나 질산(NO₃⁻)을 흡수해
이용할 뿐, 직접 질소 고정은 하지 못하며,
토양의 양분을 흡수해 생존합니다.
뿔이끼류 → 질소고정 가능
시아노박테리아와 공생하며 공기 중 질소(N₂)를
암모늄(NH₄⁺)으로 변환해 이용하고,
토양에 공급하여 주변 식물의 생장도 돕습니다.
이끼의 역할
이끼의 대표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세먼지 흡수,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변환
・ 여름엔 시원하게, 겨울엔 단열 효과 제공
・ 습기를 유지하며 곤충과 미생물 서식지 형성
・ 흙 없이 습기와 빛만으로 생존 가능
・ 바위를 분해해 토양 생성
이끼는 꽃이 피지 않습니다.
꽃이 피는 것은 씨앗이 있다는 말과 같죠
꽃을 피우는 식물(피자식물, 속씨식물)은
씨앗을 형성하여 번식하지만
비관다발 식물로 분류되는 이끼는
포자로 번식하므로 꽃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관다발 식물이지만 꽃을 피우지 않고
포자로 번식하는 대표적인 식물로는
고사리와 박쥐란이 있습니다.
박쥐란에 대하여 더 알아보고 싶다면!
↓ ↓ ↓ ↓ ↓ ↓
2025.02.20 - [가드닝] - 박쥐란 종류 알시콘 베이치 목부작 키우는 방법 물주기
독특한 번식 방법
이끼는 종자나 꽃 대신 포자로 번식하며,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병행합니다.
무성생식
이끼는 일부가 떨어져 새로운 개체로 성장합니다.
유성생식
1. 배우체(Gametophyte, n) 정자, 난자 생성
배우체는 흔히 보이는 푹신한 초록색 이끼로,
배우체에서는 염색체 쌍이 존재하여
정자와 난자를 모두 생성합니다.
2. 수정 → 접합자(Zygote) 형성
비가 오거나 습기가 많으면 정자가 물을 이용해
헤엄쳐 난자로 이동하여 수정이 일어납니다.
수정이 일어나면 접합자가 만들어지고
자라난 접합자는 포자체가 됩니다.
3. 포자체(Sporophyte, 2n) 포자 생성
포자체는 배우체 위에서 줄기 모양으로 자라고
포자체 끝에는 포자낭이 형성됩니다.
포자낭 안에서 감수 분열이 일어나
반수체 포자가 만들어집니다.
4. 포자 방출 → 새로운 배우체 형성
포자낭이 터지면 바람을 통해 포자가 퍼지고
적절한 환경에 도착하면 포자가 발아하여
새로운 배우체로 성장합니다.
**이끼는 뿌리 대신 리조이드(Rhizoid, 헛뿌리)를
사용해 바위나 나무에 붙어 살아갑니다.
테라리움에서 인기 있는 이끼
비단이끼(가는흰털이끼)
흔히 비단이끼로 불리는 '가는흰털이끼'입니다.
테라리움에 가장 널리 쓰이는 이끼로 부드럽고
촘촘하며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깃털이끼
깃털처럼 가늘고 부드러운 잎이 층층이 있고
숲속 바닥이나 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며
테라리움 및 이끼 정원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스칸디아모스(지의류)
순록의 먹이로 'Reindeer Moss'라 불립니다.
스칸디아모스는 사실 이끼가 아닌 지의류이며,
살아 있는 식물이 아닌 가공된 장식용 자재로
대부분 인공적인 염색이 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이끼처럼 성장하지 않고 다양한 색
연출이 가능하여 테라리움에 자주 사용됩니다.
밀폐 상태로 키울 수 있을까?
한 번도 환기를 시키지 않고
테라리움을 키운 분이 있습니다.
데이비드 라티머(David Latimer)인데요!
그는 1960년 부활절, 38L 유리병에
거미줄 난초 등을 심고 밀폐했습니다.
1972년 단 한 번 물을 준 뒤 2024년 6월까지
단 한 번의 개입도 없이 유지되고 있다고 합니다.
- 광합성 → 산소 및 유기물 생성
- 증산작용 → 물 순환
- 낙엽 분해 → 영양분 재활용
3가지 순환으로 외부 개입 없이 지속되었고,
'지구의 축소판'으로 주목받아
생태계 연구에도 기여했습니다.
'가드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쥐란 종류 알시콘 베이치 목부작 키우는 방법 물주기 (0) | 2025.02.20 |
---|---|
히메 몬스테라 라피도포라 찢잎 만들기 햇빛 물주기 (0) | 2025.02.15 |
아미드리움 미디움 실버 잎 모양 변이 러너 (6) | 2025.02.15 |
필로덴드론 밥씨 성장과정 바리에가타 하이브리드 (0) | 2025.02.15 |
필로덴드론 마요이 키우기 셀렘과 차이점 성장과정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