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로 실내의 분위기를 바꾸고 싶다면
추천하고 싶은 식물 중 하나인 박쥐란
오늘 소개해 볼 식물입니다.
국내에서는 박쥐 날개를 닮은 잎모양으로 인해
박쥐란으로 알려져 있지만,
해외에서는 사슴뿔을 닮았다고 해서
사슴뿔고사리(staghorn fern)로도 불립니다.
플라티케리움(Platycerium)
박쥐란은 착생 양치식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꽃도 씨앗도 만들지 않고 포자로 번식하며
자연에서 주로 나무에 붙어 자라고
세계적으로 약 18종이 분포한다고 합니다.
이는 원종의 수이며 꾸준한 원예 품종의 개발로
수백 종의 품종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착생식물인 박쥐란은 착생 대상에 해를 끼치지
않고 빗물과 대기 중의 수분으로 물을 공급받고
동물의 배설물이나 분해된 낙엽의 유기물로부터
양분을 얻어 살아갑니다.
자생지
· 아프리카
· 동남아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 마다가스카르
· 남미 일부 지역
박쥐란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자생합니다.
형태적 특징
·영양엽
이끼에 붙어 있는 부분이 영양엽(방패엽)으로
둥글고 넓은 모양의 잎이 나무에 착생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갈색으로 변하며 박쥐란의
뿌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생식엽
종마다 다른 사슴뿔 모양의 잎이 끝이
갈라진 형태로 자라납니다.
생식엽의 뒤에서 포자가 형성되며
박쥐란은 이를 통하여 번식합니다.
물주기
실내에서 키우는 작은 박쥐란의 경우 분무기로
잎과 뿌리 주변에 골고루 분무해 줍니다.
하루 1~2회, 건조한 겨울철이나 난방 시에는
추가적으로 분무하여 줍니다.
분무만으로 충분한 수분 공급이 어려워
큰 대야나 욕조에 실온의 물을 받아서
목부작을 통째로 10~15분 정도 담가두고
이후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어야 합니다.
특히 겨울엔 휴면기를 가지므로 2~3주에 한 번
급수하도록 합니다.
목부작 방법
자연에서는 나무에 붙어 자라는 착생식물이므로
코르크 판, 유목이나 나뭇조각에 부착해서 키우는
목부작 방식이 제일 인기가 많습니다.
준비물
· 코르크 판, 유목 또는 나뭇조각
· 수태(이끼)
· 고정용 철사, 낚싯줄이나 끈
· 못, 후크, 행잉 선반
1. 부착할 유목이나 판을 준비
2. 적당히 물기를 짜낸 수태를 유목 위에 올리기
3. 포트에 심어져 있는 박쥐란의 밑동 정리
4. 수태위에 박쥐란을 올리고 수태로 감싸기
5. 철사나 낚싯줄을 이용하여 영양엽과 수태
부작판을 잘 감싸서 고정
※털처럼 복실복실한 곳이 생장점입니다.
생장점 기준 왼쪽은 영양엽 오른쪽은 생식엽입니다.
균형 잡힌 박쥐란의 모습을 원하신다면
생장점의 방향을 12시에 놓고 고정해 주시면 됩니다.
박쥐란 종류
비푸카텀(Platycerium bifurcatum)
· 자생지 :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 특징
-가장 흔하게 키우는 박쥐란으로, 관리가
쉽고 적응력이 뛰어나 초보자에게 적합함
그란데(Platycerium grande)
· 자생지 : 필리핀
· 특징
- 대형종으로, 생식엽이 넓고 웅장함
- 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잎이 길게 늘어짐
슈퍼붐(Platycerium superbum)
· 자생지 : 오스트레일리아
· 특징
- 생식엽이 하나로 이어져 있는 특한 모양
- 크키가 매우 커지고 관리가 까다로운 편
베이치(Platycerium veitchii)
· 자생지 : 오스트레일리아
· 특징
- 건조한 환경에 강함
- 잎 표면에 하얀 왁스층이 있어 햇빛을 반사함
엘레판토티스
(Platycerium elephantotis)
· 자생지 : 아프리카
· 특징
- 생식엽이 거의 갈라지지 않고, 둥글고 넓음
- 이름처럼 코끼리 귀와 닮은 잎 모양
윌링키(Platycerium willinckii)
· 자생지 :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
· 특징
- 생식엽이 길고 가늘며, 깊게 갈라짐
-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습한 환경을 좋아함
힐리아이(Platycerium hillii)
· 자생지 : 오스트레일리아
· 특징
- 비푸카텀과 비슷하지만 생식엽이 더 짧고 둥긂
- 적당한 크기로 실내에서 키우기 적합함
알시콘(Platycerium alcicorne)
· 자생지 : 마다가스카르, 아프리카 일부 지역
· 특징
- 비푸카텀과 비슷하지만 생식엽이 더 가늘고
깊게 갈라지는 형태
완대(Platycerium wandae)
· 자생지 : 뉴기니
· 특징
- 박쥐란 중 가장 크기가 큰 종으로, 생식엽이
길게 늘어짐
- 성장 속도가 상당히 느린 편
코로나리움(Platycerium coronarium)
· 자생지 :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
· 특징
- 생식엽이 넓고 길게 늘어지며, 대형 종임
-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잘 자람
마다가스카리엔스
(Platycerium madagascariense)
· 자생지 : 마다가스카르
· 특징
- 영양엽(방패엽)에 독특한 주름이 있으며
착생력이 강한 편
- 관리가 까다롭고 희귀종으로 취급됨
스테마리아(Platycerium stemaria)
· 자생지 : 아프리카
· 특징
- 생식엽이 두 갈래로 깊게 갈라지는 것이 특징
- 고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함
콰드리디코토뭄
(Platycerium quadridichotomum)
· 자생지 : 아프리카
· 특징
- 희귀한 종으로 연구 사례가 적음
- 성장 습성이 잘 알려지지 않음
홀투미(Platycerium holttumii)
· 자생지 : 태국, 미얀마, 말레이시아
· 특징
- 코로나리움과 비슷하지만 잎이 더 단단함
- 열대 기후에서 잘 자람
안디넘(platycerium andinum)
· 자생지 : 남아메리카(안데스 지역)
· 특징
- 남미에서 유일하게 발견되는 박쥐란
-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며 희귀종으로 취급됨
엘리시(Platycerium ellisii)
· 자생지 : 마다가스카르
· 특징
- 다른 종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의 박쥐란
- 습도 유지에 예민하여 관리가 까다로운 편
리들리(Platycerium ridleyi)
· 자생지 :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 특징
- 둥근 영양엽이 독특한 생김새를 가짐
- 습한 환경에서 잘 자람
왈리치(Platycerium wallichii)
· 자생지 : 인도, 태국, 미얀마
· 특징
- 생식엽이 넓고 늘어지며 대형 종으로 분류됨
-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관리가 까다로움
plants.ces.ncsu.edu
platyceriumtatsuta.br22.com
powo.science.kew.org
wonkaplants.com
'가드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 종류의 이끼와 역할 번식 테라리움으로 실내에서 키우는 방법 (0) | 2025.04.02 |
---|---|
히메 몬스테라 라피도포라 찢잎 만들기 햇빛 물주기 (0) | 2025.02.15 |
아미드리움 미디움 실버 잎 모양 변이 러너 (6) | 2025.02.15 |
필로덴드론 밥씨 성장과정 바리에가타 하이브리드 (0) | 2025.02.15 |
필로덴드론 마요이 키우기 셀렘과 차이점 성장과정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