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드닝

필로덴드론 정글피버 꽃 수정해보기

반응형


비주얼부터 열대지방의 느낌을 잘 낼 수 있고
 희소가치가 있는 정글 피버!
오늘의 포스팅 주제입니다!!
 
 

무늬가 예쁜 Jungle fever

무늬가 정말 예뻐요!


정확한 이름은
‘Philodendron jungle fever variegata’
이름이 정말 길죠??

천천히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Philodendron 이란?

 
그리스어로 philo는 “친구를 좋아하는, 사랑”, 

dendron “나무”라는 뜻의 합성어인데요
말 그대로 다른 나무에 기대어 살아나가

이런 이름이 붙은 거 같습니다!


자연에서는 주로 습한 열대 숲에서 자생하며,

잎의 색상과 모양이 다양합니다.


또 관상가치가 높아 여러모로

많은 매력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Jungle fever란?


원래는 정글에서 걸릴 수 있는

말라리아 같은 병을 통칭하는 뜻이었습니다.
서양에선 흑인 남성이나 흑인 여성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성향을 뜻하는 말로

더 자주 쓰인다고 하는데 그만큼 매력이 있어서

이렇게 명명된 거 같습니다!
 

Variegata란?

 
이전 알보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린 바 있지만
무늬가 있는 대부분의 식물들은
Variegata라는 명칭이 붙습니다!

[어학사전 - Variegata]
(잡색의, 얼룩 덜 룩 한, 점박이의)

번역을 해보자면

나무와 함께 기대어 살아가고
매력이 넘치며 무늬가 있는, 이라는 뜻이 됩니다!

 

초록 지분이 많지만 무늬는 꾸준히!

의외로 자리 차지 대마왕입니다..


정글 피버는 무늬가 있지만 엽록소가

완전히 없는 흰색으로 발현되지 않아

잎이 타거나 무르는 현상이

알보만큼 심하지 않습니다!
 
 

산반 패턴!

 

잎이 커서 벽에 닿을랑 말랑하네요

하프 산반!

 

신엽이 막 나왔을 때 모습입니다!

정확히 왼쪽 잎은 초록색으로 나왔고
오른쪽 잎은 옅은 색깔로 무늬가 있습니다.

 

분갈이할 때가 됐나 봅니다..

 

신엽의 크기가 작아지고 공중 뿌리도
쉽사리 화분 안쪽에 안착하지 못하는 걸 봐서
조금 더 큰 화분이 필요해 보입니다.

라고 생각을 하는 순간
 
 

정글 피버도 꽃이 핍니다!

 

잎의 크기가 작아지고 광량이 맞지 않는 것 같아

다시 반양지로 옮기고 난 순간

무언가 볼록하고 나와 있었습니다.

바로 꽃대였죠!!
 
정글 피버의 꽃과 열매는 구글링을 통해서도

쉽사리 볼 수 없었는데 꽃대가 나와주어

정말 반가웠습니다!

잎이 작아진 이유 또한 많은 에너지를 꽃 피우는

데에 사용해 신엽이 작아진 거 같습니다!


(정글피버 그늘 아래 쉬고있는 두깡이)

 

귀엽지만 극악무도한 살식마 입니다.. (요주의)


드디어 개화

 

정글 피버의 꽃입니다!

정글 피버의 꽃도 옥수수와 생김새가 비슷하고
암술 수술이 꽃잎 안에 포개어져 있습니다!

 

 

빨간색 액체가 나옵니다
수정을 시도해봐야겠어요!
 

 

빨간 액체가 나오는 윗부분이 수술
옥수수처럼 알맹이가 가득 찬
아랫부분이 암술입니다!

빨간색 액체는 손에 묻으면
접착제같이 뻑뻑한 느낌이 들어서
면봉에 묻혀 암술에 잘 비벼 주었습니다!

인간 꿀벌 체험…

그리고 시간이 꽤 지났습니다.

과연 수정이 잘 됐을까요..?

 

암술 부분이 까맣게 변했고
구글링을 통해 봤었던 방법과 전후 사진을 보아
비슷한 상황이긴 했습니다.

수정이 잘 됐다면 알맹이가 커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1년 내외의 시간이 걸린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꽃대가 똑 하고 떨어져 있었습니다..;
 
꽃대가 꽃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줄기가 꺾여
대가 부러지고 만 것이죠…ㅠㅠ
엄청나게 기대했는데 허무하게 끝나 버렸습니다.

하지만 잘 키운다면 꽃은 또 피니까요

좋은 경험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정글 피버에 대해 포스팅해보았습니다.

레몬 씨앗을 키우고, 용과 씨앗을 키우다가
식물 키우는 재미가 생겼습니다.

정신을 차려보니 어느새
관엽에도 관심을 가지고 키우고 있네요

다음에도 재미있는 식물 이야기로 돌아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