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드닝

몬스테라 알보 씨앗을 키우면 무늬가 나올까?

반응형

2019-22년 식테크로 엄청나게 각광받았고

현재도 꾸준히 인기 있는 식물
몬스테라 알보를 포스팅해 보려 합니다!
 
 

 

알보는 왜 무늬가 있을까요?

(몸값이 정말 비쌌지만 식물 교환을 통해 키울 수 있었습니다!)

 
식물의 생장점 내 세포조직의 일부가 유전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엽록소가 없는 상태가

발현되거나 다른 색소의 발현이 증가해
잎의 색이 바뀌는 것입니다!

하지만 엽록소가 없는 부분은 색깔이 다르고
광합성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무르거나 타들어갑니다..

이렇게 본래의 색이 아닌 다른 색이 발현되고,
무늬의 발현이 매 신엽마다 고정돼서 나오면
이를 ‘Variegation’이라 칭합니다.

그래서 무늬 종의 식물들은 대게
-variegated
-variegata
-variegation
-vari라는 명칭이 붙습니다.
한국식 표현으로 무늬, 점박이가 되겠네요!
 
 

알고 계셨나요? 몬스테라 알보도

꽃이 피고 열매와 씨앗이 있습니다!

몬스테라 알보 열매

 

꽃잎이 열리고 수정이 되면 결실을 맺습니다.

https://www.instagram.com/p/CC-GHymlmJN/?igshid=MWQ1ZGUxMzBkMA==

https://www.instagram.com/p/CP4bmcYgsK2/?igshid=MWQ1ZGUxMzBkMA==


위 사진은 ocean 님이 꽃피우신 알보입니다!👍🏻

흔히 알고 있는 꽃의 생김새와는 다르게
옥수수처럼 생긴 것이 특징입니다
열대 관엽들의 꽃은 대부분 비슷한 생김새죠!

열매 또한 먹을수 있고 씨앗 또한 들어있습니다!

 

 

“씨앗을 파종했을 때도 예쁜 무늬가 묻어 나올까요?”

알보 씨앗 파종 개체

 
 
음.. 그렇지 않았고, 대부분 그렇지 않습니다.
하지만 100%라고 단언할 수는 없겠네요.


원룸 알보들

알보 1호와 무늬가 사라져가는 2호

 

저희 집에는 알보 1호와 2호 두 개체가 있습니다.
씨앗에서 자란 민무늬 몬스테라도 하나 있죠..

1호 알보는 삽수부터 다시 시작해

여전히 예쁜 무늬를 내어주고 있지만

2호 알보는 무늬가 사라지고 있습니다ㅠㅠ
그러다 최근 무늬를 잃어버렸죠..;
 

(빛에 반사돼서 잘 안보이지만 무늬가 조금 나왔습니다😅)

 
이럴 땐 무늬가 안 나오기 시작한 잎
바로 밑 생장점에서 새순이 나올 수 있도록

커팅을 하면 다시 무늬 발현 확률이 높아집니다!
 


커팅한 삽수를 번식해봅시다!

잎에 무늬 발현이 되지않아 처참히 잘린 모습

 
커팅 된 알보는 벌브에 무늬가 남아있어
다시 알보가 될 수 있는 희망을 갖고 있습니다!
 



기근 위에 경계가 진 부분이 생장점인데 여기서
새롭게 눈이 트고 자라납니다!

물에 넣어 놓기만 하면 번식 준비 완료!
 

마지막으로 식물에게도 모종의

모성애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두개체 모두 동일한 몬스테라 알보 보르시지아나 입니다.

 

높지 않은 확률로 무늬를 띄고 자라난 개체는
관상가치가 높이 책정되고 이로 인해
관엽 시장에서 많은 주목을 받지만
다른 방면에서 보았을 땐 말이 달라집니다.

무늬가 있다는 것은 엽록소 결핍으로
광합성을 못하는 부분이 생성되는 것인데
한마디로 장애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광합성을 하지 못하는 부분이
잎 전체를 이루게 되면 고스트라고 칭하는데
온통 흰 잎이 보는 이에겐 신비함을 자아내지만
광합성이 불가하므로 천천히 녹아들어 갑니다.

이러한 장애 즉 무늬가 있는 식물들이
꽃을 피우고 결실을 보게 되었을 때
그 종자를 파종하게 된다면 어떨까요?

무늬가 있는 식물은 유전학적 열성
없는 식물은 유전학적 우성입니다.

비록 모체에서 나온 씨앗은 아니지만
이를 파종하고 나서를 보았을 때
무늬는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예외의 경우가 있겠지만
대부분의 씨앗들은 우성으로
발현되어 무늬를 내지 않습니다.

유전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지만
살아오면서 보고 경험한 것들로 종합해 보자면

사람이든 식물이든 자신이 그 객체가 되었을 때
내가 부족한 것은 후세에 우리 자식들만은
겪지 않았으면 하는 모종의 모성애가 아닐까?

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였습니다.


알보 포스팅 마치도록 할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반응형